부천시한의사회가 지역의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진료와
건강불평등 해소,실무자 교육, 정책 제안 등을 통한 제도화 기반 마련에 앞장서고 있다.
그 중심에는 김범석 회장(50·중동한의원 원장)이 있다.
그는 부천시한의사회의 중추 역할을 하며 시민 건강 증진을 목표로
유관기관들과의 협력체계 구축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.
김 회장은 “부천시한의사회 회장으로서 한의약 중심의
통합돌봄과 방문진료 모델을 구축하는 데 힘써왔다.
특히 고령자·장애인·보훈가족·정신질환자 등 복합 돌봄 수요층을
대상으로 의료와 복지를 연계한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”고 밝혔다.
그는 보건·복지·의료를 통합한 ‘부천형 통합돌봄모델’을 기반으로 기획부터 운영,의료인력 조직화 및 제도 제안까지
전방위적으로 참여해 실질적인 지역 돌봄정책의 대표 사례를 만들어냈다.
2002년 부천 원미구에 한의원을 개업해 22년째 운영 중인 김 회장은
“지역사회를 위해 돌봄이 필요한 사각지대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사명”이라 말했다.
부천한의사회의 방문진료는 지난해 보건복지부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에도 참여해
현재 재택의료센터 의원 2곳, 한의원 3곳에서 운영되고 있다. 단일 지자체 중 전국 최다 기관 보유다.
올해부터는 부천시와 MOU 체결을 통해 의료수급자를 대상으로
질환관리, 복용약물관리, 생활실태 점검 및 평가 등을
포함한 재가의료급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.
앞으로 보건소, 의사회, 약사회 등과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해
지역사회 기반의 통합 재택의료 모델로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다.
이 외에도 한의약을 통한 난임지원사업, 거점경로당 한방주치의제 등
부천시의 한방 건강증진 사업으로 광복회, 재향군인회, 지역아동센터연합회 등과
MOU를 체결하고 보훈가족, 소아청소년, 저소득층 어르신 등
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적극 실천하고 있다.
김 회장은 정치권에 통합돌봄의 제도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며,
시 조례 반영을 이뤘음은 물론, 타 시도에는 없는 부천형 선도 시범사업을
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.
그는 “최근 K-한류 열풍으로 외국인들이 한의학 치료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어 반갑긴 하지만,
2030 젊은세대의 한약 및 한의학에 대한 잘못된 인식 개선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”고 언급했다.
이어 “300여 명의 부천시한의사회 회원들과 함께 시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노력하겠다.
한방·양방이 상호 협력하고 의료서비스를 향상하는 데 앞장서겠다”고 말했다.
박영재 기자
출처 : 중부일보 - 경기·인천의 든든한 친구(https://www.joongboo.com)